시간이 지났을 뿐인데, 빌려준돈을 못받는 이유- 소멸시효

소멸시효란, 권리가 있는 사람이 오랜 기간 동안 권리를 행사하지 않으면, 그 권리가 사라지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권리를 너무 오래 방치하면 더 이상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게 만드는 장치입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법적 안정성과 증거 소실 방지, 그리고 권리 위에서 잠자는 사람은 보호하지 않겠다는 취지 때문입니다.

1. 소멸시효의 종류와 기간

가. 일반 채권 (민법 제162조 제1항)

나. 상사채권 (상법 제64조)

다. 단기소멸시효 (민법 제163조)

3년 시효:

1년 시효 (민법 제164조):

라. 판결로 확정된 채권 (민법 제165조)

3. 실제 사례와 예시

사례 1: 일반 대여금 채권

A가 B에게 1,000만원을 빌려주고 변제기가 2020년 1월 1일인 경우:

사례 2: 상사채권

상인 C가 D에게 상품을 판매하고 대금을 받지 못한 경우:

사례 3: 의료비 채권

의사가 환자 치료 후 치료비를 받지 못한 경우:

4. 상사시효의 특성

가. 적용 범위

상사시효는 상행위로 인한 채권에만 적용됩니다 (상법 제64조).

나. 상행위 판단 기준

다. 다른 법령의 단기시효 우선

상법 제64조 단서에 따라 다른 법령에 더 짧은 시효 규정이 있으면 그 규정을 우선 적용합니다 (대법원 1966. 6. 28. 선고 66다790 판결).

5. 소멸시효의 중단

소멸시효의 중단이란, 권리자가 일정한 행위를 하면 그때까지 진행된 시효기간이 사라지고, 그 행위 후부터 새로 시효가 다시 시작되는 것을 말합니다. 즉, 권리자가 권리행사를 하지 않아서 시효가 진행되고 있던 상태에서, 권리자가 권리행사를 하면 그 시효진행이 멈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 중단사유 (민법 제168조)

1) 청구
: 청구란, 어떤 형식이든 채권을 이행하라고 요청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압류 또는 가압류, 가처분

3) 승인
: 승인은 채권자가 아닌 채무자가 채권(채무)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 승인의 구체적 사례

승인으로 인정된 경우:

승인으로 인정되지 않은 경우:

6. 시효중단을 위한 실무 대응방안

그렇다면 채권자가 자신의 채권이 소멸되지 않도록, 시효중단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 예방적 조치

1) 정기적 권리행사

2) 채무승인 유도

나. 법적 조치

1) 재판상 청구

2) 보전처분

다. 시효중단을 위한 새로운 확인소송

대법원은 2018년 판결에서 시효중단을 위한 재판상 청구가 있었다는 점만 확인하는 새로운 방식의 확인소송을 허용했습니다 (대법원 2018. 10. 18. 선고 2015다232316 판결).

라. 실무상 주의사항

1) 시효기간 관리

2) 증거 보전

시효는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자는 보호하지 않는다”는 민법의 원칙을 구체화한 장치입니다. 돈을 빌려줬다면 “언제든 받을 수 있겠지”라며 방치하지 말고, 시효 완성 전에 소송이나 지급명령 등 법적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돈은 빌려줬는데 법적으로 못 받는” 억울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