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인스타그램 DM, 페이스북 메시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이모티콘, 과연 법적으로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단순히 귀엽거나 감정을 나타내는 ‘장식’일까요, 아니면 하나의 증거로 인정될 수 있을까요?
실제 판례를 통해, 이모티콘의 법적 증거능력과 그 한계를 살펴보겠습니다.
1️⃣ 이모티콘, 법정에서도 ‘의미 있는 신호’
📌 판례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모티콘은 단순한 삽화나 장식이 아닙니다.
대화의 일부로서 감정을 전달하거나, 특정 의사를 표현하는 의사표시 수단으로 인정된 사례가 존재합니다.
💬 [판례 1] 부정행위의 간접 증거로 사용된 하트·뽀뽀 이모티콘
“피고가 사용한 이모티콘은 눈이 하트 모양, 입이 뽀뽀하는 모양으로, 부정행위 당사자들 사이에서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다.”
→ 대전지방법원 서산지원 2015.11.18. 선고 2015가단52222 판결
💬 [판례 2] 접촉금지명령 위반의 정황으로 활용된 이모티콘
“피고는 2019. 4. 17. 오후 6:25경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보내는 등 2개 메시지를 발송했다.”
→ 서울서부지방법원 2021.4.13. 선고 2020가단280701 판결
2️⃣ 다양한 사건에서 이모티콘이 ‘입증 수단’이 된 사례들
💔 혼인 파탄의 정황
배우자와 제3자의 카톡 대화에 포함된 하트눈, 뽀뽀 이모티콘이 혼인관계 파탄의 원인으로 인정된 사례.
🚫 접근금지 위반의 증거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전송한 것이 접촉금지명령 위반의 증거로 채택된 사례.
🥊 명예훼손 판단 기준에 등장한 이모티콘
“학교폭력범은 접촉금지!!!”라는 상태 메시지에 주먹 이모티콘 3개를 붙인 행위가 명예훼손에 해당하는지 쟁점이 된 사건.
→ 대법원 2020.5.28. 선고 2019도12750 판결
☑️ 대법원은 구체적 사실 적시로 보기 어렵다며 무죄 판단.
⚠️ 성범죄 사건의 간접 표현
신체 부위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이모티콘이 성범죄 증거로 채택된 사례.
→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2020.8.28. 선고 2020고단1093 판결
3️⃣ 이모티콘을 증거로 제출할 때 유의사항
✔️ 제출 방식
- 캡처 이미지
- 카카오톡 대화 출력물
- 디지털 포렌식 추출 자료 등
→ 가능하면 원본 데이터를 보존하고, 포렌식 전문가의 진위 확인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하지만 이모티콘에는 ‘한계’도 존재합니다
❗ 불법 취득 자료는 증거 불인정
상대방의 동의 없이 캡처하거나, 몰래 저장한 자료는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으로 증거 능력을 부정당할 수 있습니다.
❗ 해석의 주관성
같은 이모티콘이라도 맥락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법원은 대화 전체, 시간, 관계, 정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 정리: 이모티콘은 ‘한 방’은 아니지만, ‘한 조각’이다
오늘날의 법정에서는 이모티콘을 단순히 감정의 표현으로만 보지 않습니다.
그 자체로 의사표시로 기능하거나, 텍스트와 결합해 강력한 정황증거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직 이모티콘 하나만으로 소송 결과가 뒤바뀌지는 않습니다.
언제나 전체 대화 흐름 속에서 해석되어야 합니다.
📌 실전 팁
- 중요한 대화는 이모티콘보다는 문장으로 명확하게 표현하세요.
- 증거로 남길 수 있다면, 대화 내용은 원본 그대로 보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민감한 대화라면, 디지털 포렌식 자문을 염두에 두세요.
🧾 참고 판례
- 대전지방법원 서산지원 2015.11.18. 선고 2015가단52222
- 서울서부지방법원 2021.4.13. 선고 2020가단280701
- 대법원 2020.5.28. 선고 2019도12750
-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2020.8.28. 선고 2020고단1093